Economy

MZ는 이렇게 적금 든다. 2탄

숑숑15 2023. 8. 29. 00:21
반응형
SMALL

지난 시간에 이어 MZ는 이렇게 적금 든다. 2탄입니다.

적금은 크게 정기적금과 자유적금으로 나눠지는데 제약이 적다는 점에서 자유적금은 금리가 낮고 정해진 일정과 금액을 약속하여 금리가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정기적금 : 정해진 일정과 금액을 약속한 기간동안 매월 납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유적금 : 적립 금액을 원하는대로 자유롭게 납입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목돈을 만드는 방법으로 적금을 가입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어느정도 목돈이 준비되어 있다는 전제로 정기적금으로 예금보다 더 많은 세후이자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선납이연입니다. 먼저 선납이연이 무엇인지 한번 알아볼까요?

 

선납이연이 무엇인가요?

선납(先納) : 기한(期限) 전(前)에 돈을 미리 바침. 먼저 냄.

이연(移延) : 차례(次例)로 시일(時日)을 미루어 나감.

 

선납이연이란 기한 전에 돈을 미리 내고 차례로 시일을 미루어 나간다는 뜻으로 쉽게 생각하면 1년짜리 정기적금의 납부일을 매월 15일이라 가정했을 때 이달에는 5일 늦게 납부하고 다음달 5일 당겨서 납부하는 것입니다. 말그대로 약속된 기간을 지연하고 선 납부하여 약관을 위배하지 않고 적금 상품을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선납이연을 이용하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

선납이연을 이용한다고해서 원금이나 이자가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다만, 목돈을 한번에 묶어두는 정기예금보다는 자금을 자유롭게 융통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융통할 자금이 있다는 것은 자산을 늘릴 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 겁니다.

 

첫번째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게으른 A와 부지런한 B는 동일하게 1,200만원을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의 금리는 2023년 8월 30일 기준으로 은행연합회에서 제공하는 금리를 적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정기예금 1년 만기 최고 금리는 우대금리 포함하여 4.1%이며 정기적금 1년 만기 최고금리는 우대금리포함하여 5.5%입니다. 추가로 6개월 만기 최고 금리는 우대금리 포함하여 3.9%입니다.

 

A는 정기예금에 1,200만원을 예금하였습니다.

 

B는 1,200만원의 정기적금 상품을 1회차에 100만원을 납부하고 7회차에 1,100만원을 납부하는 선납이연(1-11)을 사용합니다. 이후 1회차에 1,100만원의 6개월 만기 예금 상품에 가입하였습니다.

  정기예금
정기적금 선납이연
(1-11 방식)
6개월 만기 예금
금리 4.1% 5.5% 3.9%
총납입금 1,200만원 1,200만원 1,100만원
납입 방식 일시납 1회차 : 100만원
7회차 : 1,100만원
일시납
예치기간 1년 1년 6개월
이자구분 단리 단리 단리
세율 15.4% (일반세율) 15.4% (일반세율) 15.4% (일반세율)
원금합계 12,000,000원 12,000,000원 11,000,000원
세전이자 492,000원 357,500원 214,500원
이자과세 -75,768원 -55,050원 -33,033원
세후이자 416,232원 302,445원 181,467원

1년이라는 시간을 동일하게 사용해서 A는 416,232원을 이자소득을 얻었고 B는 483,912원의 이자소득을 얻게 되었습니다. 

 

두번째 예를 보겠습니다.

선납이연 6-1-5 방식을 사용하고 6개월 만기 예금 상품을 2번 가입하였습니다. 이 경우는 하반기 금리 상승을 예견하여 +0.3 금리가 인상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첫번째 예보다 만기 예금의 이자소득을 6,345원 더 얻게 됩니다.

  정기예금
정기적금 선납이연
(6-1-5 방식)
6개월 만기 예금
(상반기)
6개월 만기 예금
(하반기)
금리 4.1% 5.5% 3.9% 4.2%
총납입금 1,200만원 1,200만원 600만원 500만원
납입 방식 일시납 1회차 : 600만원
7회차 : 100만원
12회차 : 500만원
일시납 일시납
예치기간 1년 1년 6개월 6개월
이자구분 단리 단리 단리 단리
세율 15.4% (일반세율) 15.4% (일반세율) 15.4% (일반세율) 15.4% (일반세율)
원금합계 12,000,000원 12,000,000원 6,000,000원 5,000,000원
세전이자 492,000원 357,500원 117,000원 105,000
이자과세 -75,768원 -55,050원 -18,018원 -16,170원
세후이자 416,232원 302,445원 98,982원 88,830원

 

모든 정기적금이 선납이연 가능할까?

선납이연은 모든 정기적금 상품에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선납이연이 가능한 상품은 대부분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농협,수협 등)이며 이연이 가능한지 여부를 고객센터에 문의하거나 상품설명서를 통해 이연이 가능한지 확인을 하시길 바랍니다.

아래 예시에 사용되었던 선납이연 방법을 정리하였으니 자금 융통에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1-11 선납이연 방법

1회차에 1회차분 납입, 7회차 11회분 납입

납입회차 납입일자 실 납입일자 선납이연일수
1 2023-01-01 2023-01-01 0
2 2023-02-01 2023-07-01 150
3 2023-03-01 2023-07-01 122
4 2023-04-01 2023-07-01 91
5 2023-05-01 2023-07-01 61
6 2023-06-01 2023-07-01 30
7 2023-07-01 2023-07-01 0
8 2023-08-01 2023-07-01 -31
9 2023-09-01 2023-07-01 -62
10 2023-10-01 2023-07-01 -92
11 2023-11-01 2023-07-01 -123
12 2023-12-01 2023-07-01 -153

 

6-1-5 선납이연 방법

1회차에 6회차분 납입, 7회차 1회분 납입, 마지막날 5회차분 납입

납입회차 납입일자 실 납입일자 선납이연일수
1 2023-01-01 2023-01-01 0
2 2023-02-01 2023-01-01 -31
3 2023-03-01 2023-01-01 -59
4 2023-04-01 2023-01-01 -90
5 2023-05-01 2023-01-01 -120
6 2023-06-01 2023-01-01 -151
7 2023-07-01 2023-07-01 0
8 2023-08-01 2023-12-31 152
9 2023-09-01 2023-12-31 121
10 2023-10-01 2023-12-31 91
11 2023-11-01 2023-12-31 60
12 2023-12-01 2023-12-31 30

 

선납이연이라는 방법을 활용해서 자금을 융통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선납이연과 레버리지(대출)을 이용한 정기적금 방법도 있으니 다음 시간에는 레버리지를 이용한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내용들은 가상의 시나리오이며 은행 및 상품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온라인 공식 사이트 및 뉴스의 정보로 얻어진 것이지만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최종 결정을 하기 바라겠습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