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y

레버리지란?

숑숑15 2023. 8. 25. 18:26
반응형
SMALL

레버리지란 무엇일까요?

위키에서는 타인의 자본을 지렛대처럼 이용하여 자기 자본의 이익률을 높이는 것이라고 합니다.

영국과 호주에서는 이를 기어링(Gearing)이라고 하며 여러 분야에서 레버리지를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분야를 알아볼까요?

- 금융에서는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돈을 빌리는 비율이라는 의미로 많이 사용합니다.

- 부동산에서는 갭투자가 레버리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사모 펀드에서는 레버리지는 차입 매수가 있습니다.

- 주식 거래에서는 주가가 떨어질 경우 오히려 수익을 얻는 펀드를 인버스 펀드나 리버스 펀드라고 합니다. 여기에 수익률이나 손실률을 몇배로 뻥튀기 시켜주는 것은 레버리지라고 합니다. 인덱스 펀드나 ETF에서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부동산 투자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순수 자기자본금을 10억으로 투자하여 1억원의 이익을 얻었다면 자기자본이익률은 10%입니다.

만약 자기자본금 5억과 타인자본 5억으로 1억원의 이익을 얻었다면 자기자본이익률은 20%로 오르게 되는 것이죠.

 

레버리지를 활용한다면 자기자본금 이 10억일때 100% 투자로 10% 이익만 보지 않고 5억을 다른곳에 투자함으로써 자기자본이익률을 더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됩니다.

 

리스크가 없을까요?

위 부동산 투자의 예를 보면 10억을 투자하여 1억원의 이익이 아닌 -1억이라고 가정하면 자기자본이익률은 -10%이지만 자기자본금 5억과 타인자본 5억을 투자할 경우 반대로 자기자본이익률 -20%라는 리스크를 안게 되는것입니다.

 

 

 

결론

레버리지는 지렛대처럼 작은 힘으로 큰 효과를 내는 도구입니다. 레버리지가 높아질수록 리스크도 증가하므로, 잘못 관리하면 큰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레버리지를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B%A0%88%EB%B2%84%EB%A6%AC%EC%A7%8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97279&cid=58393&categoryId=58393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89491&cid=40942&categoryId=31909 

https://namu.wiki/w/%EB%A0%88%EB%B2%84%EB%A6%AC%EC%A7%80

 

레버리지

차입금, 사채 등의 고정적 지출과 기계, 설비 등의 고정비용이 기업경영에서 지렛대(lever)와 같은 중심적 작용을 하는 일. 재무레버리지와 영업레버리지의 두 가지가 있다. ① 재무레버리지:기업

terms.naver.com

 

레버리지

자산투자로부터의 수익 증대를 위해 차입자본(부채)을 끌어다가 자산매입에 나서는 투자전략을 총칭하는 말이다. 영국과 호주에서는 이를 기어링(Gearing)이라고 한다. [부채에 근거한 투자는 일

terms.naver.com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