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y

투자를 시작해보자. 2탄 : 증권투자

숑숑15 2023. 10. 15. 13:33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는 증권투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투자보다 먼저 증권이 무엇인지 알아봐야겠죠?

 

증권이란?

 증권은 한자로 증거 증(證)자와 문서 권(券)자로 이루어졌으며 증거를 가진 문서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일정한 재산상의 권리를 표시하는 증서를 증권이라 하며 흔히 말하는 주식도 유가 증권에 해당합니다.

 

유가증권은 신용경제가 발달함에 따라 재산상의 권리 변동을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 생긴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증권'이라고 할 때는 자본증권만을 가리키며 증권 시장에서 다루어지는 것도 이 자본증권으로, 상장되어 있는 주식 및 채권 등을 말합니다.

증권 구분 증권의 종류 상세 설명
유가증권 화폐증권 어음, 수표 등 쉽게 일정한 금액을 화폐로 바꿀 수 있는 화폐 대용 증권
자본증권 주식, 채권 등 이자 또는 이윤을 목적으로 투자한 금액을 표시한 증권
상품증권 창고증권, 선하증권, 화물상환증 등 상품의 소유, 양도와 같은 효력을 지닌 증권
무가증권   내기, 소원들어주기 등의 서약서 등 가치가 없는 증권

 

반응형

 

그럼 증권투자는 뭘해야하지?

위 표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자본증권이 이자 또는 이윤을 목적으로 이용되는데요. 일반적으로 많이들 하시는 주식과 채권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증권이라하면 자본증권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럼 주식과 채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이 뭘까?

주식은 기업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금융상품 중 하나로, 회사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주식증권을 말합니다. 기업은 자금을 조달하거나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주식을 발행하고, 개인이나 기관 투자자들은 이러한 주식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주식을 소유하면 해당 기업의 소유권 일부를 가지게 되며, 이는 주주로서의 지위를 나타냅니다. 주주는 회사의 이익을 나누고, 주주총회에서 투표권을 행사하여 기업의 경영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식의 가격은 시장에서 공급과 수요에 따라 변동하므로, 투자자들은 주식 시장에서 수익을 얻거나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식 시장에서는 주식 가격이 상승하면 투자자들은 이익을 얻고, 가격이 하락하면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고위험 고수익성을 가지고 있어서 투자자들은 주식 시장에서 자신의 투자 목표와 위험 허용 수준을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주식 시장은 금융 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많은 투자자와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채권이란?

채권은 기업, 정부, 또는 다른 단체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채권은 채무증권의 한 형태로, 채권을 발행한 단체는 투자자나 채권 구매자에게 일정 기간 동안 원금을 빌려주고, 그에 대한 이자를 지불하는 약정입니다. 즉, 채권 구매자는 채권 발행자에게 돈을 대여하고, 대가로 이자 수익을 얻게 됩니다.

 

채권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원금 (Principal): 채권의 원금은 채권 발행 가격 또는 액면 가치로 알려져 있으며, 채권이 만기가 되면 이 원금은 상환됩니다.
  • 이자 (Interest): 채권 발행자는 채권 구매자에게 원금을 대신해 일정 기간마다 이자를 지급합니다. 이자율은 채권의 종류와 시장 조건에 따라 다르며, 연간 이율로 표시됩니다.
  • 만기일 (Maturity Date): 채권의 만기일은 채권이 발행된 날짜부터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도달하는 날짜를 나타냅니다. 만기일에 원금이 상환되며, 이 때까지 이자가 발행자에게 지급됩니다.

채권은 안정적이고 상대적으로 낮은 위험을 가진 투자 도구로 간주됩니다. 특히 정부 채권은 국가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일반적으로 신뢰성이 높아서 투자자들 사이에서 안전 자산으로 인식됩니다. 그러나 이자율과 수익률은 채권 종류와 현재 시장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 목표와 위험 허용 수준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채권을 고려해야 합니다.

 

SMALL

 

어떻게 투자를 해야할까?

투자방법은 일반적으로 유가증권을 직접투자하거나 펀드를 이용한 간접투자를 하는데요. 직접투자는 투자자가 주식이나 채권 등을 직접 골라서 투자하는 것이고, 간접투자는 자산운용회사가 운용하는 펀드에 투자자가 가입하는 것입니다. 펀드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동투자 : 일반투자자로부터 소액의 자금을 모아 거액의 자금을 조성하여 소액자금으로는 불가능한 여러 가지의 증권에 분산투자가 가능합니다.
  • 전문성 :풍부한 경험과 전문지식을 갖춘 금융 전문가들이 고객을 대신하여 재산을 운용합니다.
  • 분산투자 : 투자자산의 위험을 극소화 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가증권에 나누어서 투자를 합니다.
  • 수익성 : 배당, 이자수익, 가격변동에 따른 투자이익 극대화를 위한 투자자체에 목적이 있습니다.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예금, 적금과 같이 원금이 보장되지 않고 자산을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 수익률은 차이가 많이 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펀드 상품에 대한 많은 정보와 투자 위험에 대해서 인지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직접투자 vs 간접투자

많은 사람들이 주식과 채권등에 직접 투자를 하면서 전문가만큼 정보의 습득, 경험이 부족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손실을 보게 됩니다. 투자는 투자자의 몫이므로 수익 및 원금 손실이 적은 안정적인 상품을 찾아 소액으로 운용해보고 경험을 쌓고 직접 투자를 실행하기를 권해드립니다. 

 

다음시간에는 증권투자를 위한 기초 과정으로 금융과 증권시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LIST